공감커뮤니티 > 리더십 컬럼
관리자
2014-03-26
17,847
<정관정요貞觀政要>에 다음과 같은 얘기가 있다.
수나라의 양제煬帝가 새로 지은 궁전을 처음으로 보러 갔다.
왕은 특히 그 정원이 마음에 들었는데 반딧불이 없는 게 흠이라고 생각되었다.
그래서 “등불을 켜 놓는 대신 개똥벌레를 좀 잡아다 연못에 풀어 놓으면 운치가 나지 않겠느냐”고 의견을 말했다.
그것은 명령도 지시도 아니었다.
하지만 건설 책임자는 당장에 인부 수천 명을 동원해서 개똥벌레를 잡게 해 마차 5백 대에 실어 와 못에 풀었다.
당나라의 태종은 이 얘기를 신하들에게 들려 주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보통 사람이라도 다른 사람과 얘기할 때 조금이라도 상대방이 자기 비위에 거슬리는 말을 하면,
그걸 잊지 않고 있다가 언젠가 반드시 보복하는 법이다.
하물며 천하를 다스리는 군주가 신하와 얘기할 때는 사소한 실언도 해서는 안된다.
그 영향은 엄청나기 때문이다.”
모든 화근은 혀끝에 있다.
입에서 한 번 나온 말은 다시 입 안에 돌려 넣지 못한다.
<신음어(呻吟語)>에서 여곤呂坤은 이렇게 충고했다.
“마음에 울타리를 치고 입에는 문을 달아라.
울타리를 치면 속 마음이 함부로 뛰쳐나오지 않을 것이며,
입에 문이 달려 있으면 쓸데없는 말이 빠져 나오지 않을 것이다.
말을 가볍게 생각하거나 경솔하게 해서는 안 된다.”
특히 정치의 최고 책임자는 이런 ‘유역由易의 언言’을 조심해야 한다는 것이다.
캘빈 쿨리지는 대단히 과묵한 대통령이었다.
왜 말이 없느냐고 누군가가 묻자 그는 이렇게 대답했다.
“말하지도 않은 것에 대해서는 해명할 필요가 없다는 교훈을 나는 일찍이 배웠다.”
<역경易經>에서도 “훌륭한 사람일수록 말이 적고 마음이 가벼운 사람일수록 말이 많다”고 입조심을 당부하고 있다.
생각을 하지 않는 사람일수록 말이 많은 법이라고 몽테스키외가 말한 적도 있다.
이제 침묵이 금이던 시대는 지났다.
그래도 말이 많으면 경박해 보이기가 쉽다.
홍사중의 新지도자론 <리더와 보스>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