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를 실천하는 이순신 포럼

충무공 이순신 > 이순신 뉴스

"일본군을 그냥 두라고?"..이순신이 진노한 明나라 '금토패문'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16-12-27

조회 14,887

"일본군을 그냥 두라고?"..이순신이 진노한 明나라 '금토패문'

입력 2016.12.27 08:31 댓글 179

"왜는 간사스럽기 짝이 없어 예로부터 신의를 지켰다는 말을 들은 적이 없습니다. 흉악하고 교활한 적들이 아직도 포악한 짓을 그만두지 아니하고, 여러 곳으로 쳐들어와 살인하고 약탈하기를 전보다 갑절이나 더하니, 병기를 거두어 바다를 건너 돌아가려는 뜻이 과연 어디 있다 하겠습니까."
1594년 3월에 명나라 칙사인 도사부(都司府) 담종인(譚宗仁)이 일본군과 싸우지 말라고 쓴 '금토패문'(禁討牌文)에 대해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보낸 답장의 내용이다.

노승석 소장, '임진기록'서 '금토패문' 전문 발견

(서울=연합뉴스) 구정모 기자 = "왜는 간사스럽기 짝이 없어 예로부터 신의를 지켰다는 말을 들은 적이 없습니다. 흉악하고 교활한 적들이 아직도 포악한 짓을 그만두지 아니하고, 여러 곳으로 쳐들어와 살인하고 약탈하기를 전보다 갑절이나 더하니, 병기를 거두어 바다를 건너 돌아가려는 뜻이 과연 어디 있다 하겠습니까."

1594년 3월에 명나라 칙사인 도사부(都司府) 담종인(譚宗仁)이 일본군과 싸우지 말라고 쓴 '금토패문'(禁討牌文)에 대해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보낸 답장의 내용이다.

당시 조선을 도우러 온 명나라 군대는 평양성에서 일본군에 크게 패하자 심유경(沈惟敬)을 보내 일본 측과 강화협상을 진행 중이었다.

삼도수군통제사였던 이순신은 전염병에 걸려 10여일 넘게 앓아누웠지만 명나라의 '금토패문'을 받아보고선 분노를 금치 못하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답장 '답담도사종인금토패문'(答譚都司宗仁禁討牌文)을 써서 보낸다.

'금토패문'에 어떤 내용이 담겨 있었기에 이순신은 그토록 화를 냈을까. 그가 쓴 답장에 '금토패문'의 일부 내용이 언급돼 있지만 그 전체 내용은 그동안 알려지지는 않았다.

이에 이순신 연구가인 노승석 여해고전연구소장이 조선 중기 문신 약포(藥圃) 정탁(鄭琢)의 '임진기록'에서 정탁이 옮겨 적은 이순신의 장계(狀啓) 초본에 '금토패문'의 전체 내용이 들어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27일 밝혔다.

이순신이 선조임금에게 올린 장계는 1594년 3월 10일에 작성됐다. 이순신은 이 장계에서 담종인이 황제의 성지(聖旨)를 가져왔다고 알리고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서술했다. 이순신 연구가인 노승석 여해고전연구소장은 조선 중기 문신 약포(藥圃) 정탁(鄭琢)의 '임진기록'에서 정탁이 옮겨 적은 이순신의 장계(狀啓) 초본에 '금토패문'의 전체 내용이 들어있음을 확인했다. '금토패문'은 명나라 칙사인 도사부(都司府) 담종인(譚宗仁)이 일본군과 싸우지 말라고 이순신에게 보낸 명나라의 통지문이다. [한국국학진흥원 제공]

이순신 연구가인 노승석 여해고전연구소장은 조선 중기 문신 약포(藥圃) 정탁(鄭琢)의 '임진기록'에서 정탁이 옮겨 적은 이순신의 장계(狀啓) 초본에 '금토패문'의 전체 내용이 들어있음을 확인했다. '금토패문'은 명나라 칙사인 도사부(都司府) 담종인(譚宗仁)이 일본군과 싸우지 말라고 이순신에게 보낸 명나라의 통지문이다. [한국국학진흥원 제공]

장계가 전한 '금토패문'은 "일본의 각 장수가 모두 갑옷을 풀고 전쟁을 그치고 본국으로 돌아가고자 하니, 너희 조선도 전쟁의 어지러움을 벗고 태평의 즐거움을 누리는 것이 어찌 양국의 이익이 아니겠는가"고 말하고 있다.

이어 "너희의 각 병선들은 속히 본래 있던 곳으로 돌아가서 일본의 진영에 가까이 주둔하지 말도록 하라. 교란시키는 일을 만드는 것은 사단을 일으키는 것이다"라고 명했다.

또한 "몽매하게 고집 피우며 살피지 않고 이곳에 머물러 여전히 영락한 왜군을 다시 쫓아가 죽이고 배를 빼앗는다면 […] 너희 국왕에게 문서를 보내어 엄하게 조사하게 할 것이고, 각 관군은 병화(兵火)를 불러일으킨 죄를 피할 수 없을 것이다"고 경고도 했다.

그러면서 "패문이 도착하면 즉시 글을 갖추어 회답을 보내라. 이상의 패문으로 조선의 각 배신들에 바라노라. 이를 따라 패문을 시행하도록 하라"고 덧붙였다.

일본군이 거제, 웅천, 김해, 동래 등 우리나라 영토에서 진을 치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 진영에 가까이 가지 마라'는 명나라의 요구에 이순신은 부당한 처사라고 느끼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명나라와 일본간의 강화협상은 오래가지 못했다. 명나라는 화전양론을 저울질한 끝에 강경론을 선택하고 조선과 함께 일본군과 전투를 벌인다.

노 소장이 이번에 발견한 내용은 그의 책 '교감완역 난중일기' 개정판에 담겼다.

'교감완역 난중일기'는 이순신의 난중일기 친필 초고본을 중심으로 그동안 나온 이본(異本·원본과 기본적인 내용은 같으면서도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책)의 내용을 비교해 만든 정본(正本) 최종판이다. 26일 발간됐다.

pseudojm@yna.co.kr

-  연합뉴스  -  에서 옮겨온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