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를 실천하는 이순신 포럼

충무공 이순신 > 이순신 리더쉽

729 건의 게시물이 등록되어 있습니다.

검색하기

조선의 대마도 통치관 (0)
관리자 | 2022.03.20
조선의 대마도 통치관 김성일(金誠一) : 1591년(선조 25년) 일본의 도요토미히데요시를 만나고 돌아오는 길에 대마도에 들러서 동행한 서장관 허성에게 "대마도는 우리나라(조선)와어떤 관계에 있습니까? 대대로 국가의 은혜를 받아우리의 동쪽 울타리가 되고 있으니 의리로 말하자면임금과 신하요, 땅
조선의 안보외교에 대하여..... (0)
관리자 | 2022.03.13
조선의 안보외교에 대하여.....그때 나(류성룡)는 예조판서로서 또한 왜국사신을 예조 안에서 대접하고 있었는데, 통신에 대한 의론은오랫동안 결정되지 못했다. 내가 대제학(大提學)이 되어서 국서를 쓰려고 할 때 임금에게 글을 올려"이 일은 빨리 의론을 결정하시어, 두 나라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하시옵
관음포 속으로..... (0)
관리자 | 2022.03.06
관음포 속으로.....(前略).....한바탕 맹렬히 싸웠다. 앞을 막힌 적선은 뒤로 돌아 보았다. 뒤를 따라 급히 치던 이순신의 대함대는 어디론지 자취를 감춰 버리고 그림자도 없었다. 그들은 따라오던 순신이 저절로 없어진 것이 좋았다. 그래서뒤로 방향을 돌려 안심하고 관음포로 들어갔다.그들은 행장, 의홍
찬획 원황에게 보내는 서신..... (0)
관리자 | 2022.02.27
찬획 원황에게 보내는 서신..... 만력 21년 2월 27일(1593. 03. 30)전쟁중에 간첩을 쓰는 것은 실로 승리의 계책이지만 반드시 적당한 사람에게 맡겨야비로서 성사 시킬 수 있습니다. (中略)왕종성이 간다면 반드시 성공 할 것입니다. 삼가 명령에 따라 패표(牌票)를 주어 그가 일을 행
원균의 인품..... (0)
관리자 | 2022.02.20
원균의 인품.....(前略).....나의 중부(仲父) 동암공(東巖公)의 처가 바로 원씨(元氏)의 일가이기 때문에 원균은 통제사로 부임하던 날 나의 중부를 찾아와 뵙고 "내가 이 직함을 영화로운 것으로 여기는 것이 아니라 오직 이순신에 대한 부끄러움을 씻게 된 것이 통쾌합니다." 라고 하므로, 중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