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를 실천하는 이순신 포럼

충무공 이순신 > 이순신 생애와 업적

연대기

삶

정신

명언/시

유적지

장군의사람들

주요전투

전선과무기

삶

이순신장군

무언의 길 - 이순신 일본침략에 대비하다.
이순신은 1545년 3월 8일(음력) 서울 건천동에서 태어났으나, 경제적 빈곤으로 인해 어려서 외가인 충남 아산으로 이사하여 그 곳에서 성장하였다. 28세가 되던 1572년 8월 처음으로 무관시험에 응시 하였으나 낙마사고로 낙방하였고, 4년 뒤인 1576년 2월 비로소 식년무과에 합격하였다. 32세라는 뒤늦은 나이에 북방의 말단 수비장교로 시작된 이순신의 관직생활은 평탄하지 않았다. 그는 정치적 배경이나 경제적 능력이 없고, 성품이 강직하고 원칙을 중시하여 상관들로부터 잦은 모함과 미움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런 이순신이 정읍현감을 거쳐 1591년 2월 유성룡의 추천으로 드디어 전라좌도 수군절도사가 되었다.





임진왜란 발발 - 조선수군 일본의 발목을 잡다.
1592년 4월 13일(음력) 마침내 이순신이 우려했던 임진왜란이 발발하였다. 수십만 대군의 일본군이 전쟁준비가 전혀 되어 있지 않은 조선을 일시에 침략한 것이다.

전쟁발발 소식을 들은 이순신은 전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만전의 준비를 한 후, 1592년 5월 4일 첫 출전을 한다. 이 출전에서 그는 옥포, 합포, 적진포 지역에서 해전을 치러 총 42척의 왜선을 격파하며 승리하였다. 이어서 6월 당포. 당항포에서, 7월 한산도, 안골포에서, 9월 부산포해전에 이르기까지 크고, 작은 여러 해전에서 연이어 승리하였다. 이러한 이순신 함대의 일방적인 승리는 조선 수군의 사기를 진작하였고, 결국 조선 수군은 남해안 일대의 제해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또한 개전 이 후 거침없이 공격 해오던 일본군의 전략(수륙병진)에 큰 타격을 주어 전쟁의 방향을 전환하는 전기를 마련하였다.

특히 세계 4대 해전으로 손꼽히는 이순신의 한산도 해전은 조선 총통과 전선의 우수성, 이순신 특유의 창의적 전술인 ‘학익진’을 사용한 전투로 해군 수장으로써 이순신의 뛰어난 면모를 유감없이 보여주는 전투이다. 1593년 8월 15일, 이순신은 전투의 공을 인정받아 초대 삼도수군통제사에 임명된다.

조선 수군의 잇따른 해전 승리, 의병들의 출현, 명나라 군대의 참전 등으로 어려움에 처한 일본은 강화 교섭 자체를 반대하는 조선을 배제시킨 채, 전투에 소극적인 명나라와 약 3년 9개월 동안 지루한 강화협상을 전개해 나간다. 이순신은 이 기간 동안에도 군량 확보, 병력 충원, 전함 건조, 무기 제작 및 화약 비축, 군사 훈련 등 조선 수군의 전투력을 높이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였다. 특히 전염병과 군량미 부족이라는 악조건과 싸우며 해상 작전을 수행해나갔는데, 1594년 3월 난중일기에는 장군도 자신도 전염병에 걸려 고생한 기록이 남아있다. 또한 군량확보를 위해서 과거 둔전관의 경험을 살려 둔전을 경영했으며, 어로 작업과 소금제작으로 수만 석의 군량을 마련하는 경영 능력을 보여주었다.

고난의 길 - 13 VS 133 명량해전 승리로 다시 살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이순신은 이러한 모든 노력과 성과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희생양이 되어 1597년 2월 삼도수군통제사 직위를 박탈당하고 죄인의 신분으로 서울로 압송되기에 이른다. 모진 형벌을 받고 사형위기에까지 몰린 이순신은 결국 여러 사람들의 구명운동으로 방면되나, 두 번째 백의종군에 처하게 된다. 더욱이 이 기간 그는 사랑하는 어머니를 여의는 큰 슬픔을 겪게 된다.

한편 이순신의 뒤를 이어 제2대 삼도수군통제사에 임명된 원균은 1597년 7월 칠전량해전에서 대패하고 전사한다. 3년 9개월 동안 이순신이 각고의 노력으로 이룩해놓은 조선수군의 모든 것이 한순간에 사라진 것이다. 패전 소식은 곧 이순신에게 전해졌고, 장군은 즉시 조선 수군 부활의 해법을 찾기 위해 부하들과 함께 한 달에 걸친 해안지역 정찰에 나선다. 이 기간 동안 그는 남해 지역을 직접 돌아보며 흩어졌던 장병들을 하나로 결집시키고 무기와 군량미를 모았다. 1597년 8월 3일 이순신은 삼도수군통 제사로 재임명되는 교지를 받게 된다.

이순신에게는 13척의 판옥선만이 남아 있었다. 명량해전은 이러한 이순신의 함대가 수백 척의 적선과 맞서 싸운 해전이었다. 이순신은 절대적인 수적 열세를 극복하기 위해 지형을 활용하는 뛰어난 지략을 발휘하였고, 위험을 무릅쓰고 앞장서 함대를 이끄는 리더십을 발휘하여 결국 133척의 적선과 맞서 승리하였다. 이 승리로 조선수군은 칠전량해전의 승기를 타고 서해로 진출 하려는 일본을 막아내고, 자신감을 회복하여 재건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순신은 이 해전으로 셋째 아들을 잃게 된다. 패배한 일본군이 이순신의 본가가 있는 아산으로 쳐들어가 보복한 것이다.

이 후로 이순신은 고하도, 고금도로 차례로 진영을 옮기면서 수군을 재건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인다. 유성룡의 징비록에는 1598년 2월 17일 이순신은 8000여명의 병력과 53척의 판옥선을 이끌고 고금도로 진영을 옮겼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1598년 8월 18일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함으로 일본은 철군을 서두르게 된다.

마지막 전투 노량해전 - 진정한 영웅 이순신 길이 살다.
조선과 명나라의 연합 함대는 1598년 11월 노량 앞 바다에서 퇴각하는 일본군과 마지막 해전을 벌이게 되는데, 이 치열한 전장의 선상에서 이순신 장군은 적의 총탄에 맞아 전사한다. 장군은 치명상을 입고 쓰러져 가는 중에도 아군의 동요를 염려하여 자신의 죽음을 알리지 말라는 유언을 남긴다. 노량해전은 조선 수군의 애국심과 우수성을 떨친 마지막 해전이었으며, 조선 수군이 주도 했던 사상 최대 규모의 승리였다.

이순신은 7년의 임진왜란 기간 동안 최소 23전 이상의 전투에서 한 번도 패하지 않은 훌륭한 장수였다. 그러나 단지 싸움에만 능한 장수가 아니었다. 어떤 어려움 속에서도 굴복하지 않고, 자신의 몸을 바쳐 끝까지 백성과 나라를 사랑한 진정한 리더였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인들은 오늘날에도 이순신을 가장 사랑하고 닮고 싶어 하는 영웅으로 꼽는다.

출처 : 반크이순신 ㅣ 사이트주소 : http://yisunsinkr.prkorea.com/